근대 민주 국가의 형성
프랑스 자유주의 혁명
나폴레옹 체제가 무너진 뒤 프랑스에는 다시 왕정이 들어섰습니다. 프랑스 혁명을 피해 외국에 망명했던 귀족들도 돌아왔습니다. 샤를 10세는 의회를 해산하고, 선거권을 제한했을 뿐 아니라 언론과 출판을 탄압하였습니다. 이에 자유주의자, 시민, 학생, 노동자가 합세하여 샤를 10세를 몰아내고, 루이 필리프를 옹립하여 입헌 군주정을 수립하였습니다(7월 혁명, 1830).
이 무렵 프랑스에서는 산업 혁명이 진행되면서 사회주의가 확산되고 노동자의 의식이 성장하고 있었습니다. 루이 필리프 정부는 은행가, 대상인, 법률가, 대학교수 등 부유한 시민에게만 선거권을 주었습니다. 이에 중소 시민과 노동자들은 선거권의 확대를 요구하며 루이 필리프를 몰아내고 공화정을 수립하였습니다(2월 혁명, 1848).
2월 혁명은 전 유럽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오스트리아의 빈에서는 혁명이 일어나 메테르니히가 쫓겨나면서 빈 체제가 무너졌으며 그 밖에 여러 나라에서도 자유주의 운동이 일어났습니다.
2월 혁명 이후 프랑스에서는 루이 나폴레옹이 국민 투표로 대통령에 선출되었습니다. 그는 1852년 쿠데타를 일으켜 황제에 즉위함으로써 나폴레옹 3세가 되었습니다. 나폴레옹 3세는 크림 전쟁에 참전하고 인도차이나 반도를 점령하는 등 대외 팽창을 꾀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는 비스마르크가 이끄는 프로이센과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몰락하였습니다. 이때 프로이센 군대에 포위된 파리에서는 시민들의 자치 정부인 파리 코뮌이 들어섰다가 진압되었습니다(1871). 이후 프랑스는 프로이센과 강화를 맺고 공화정을 수립하였습니다.
영국의 자유주의 개혁
유럽 대륙이 혁명과 반혁명의 소용돌이 속에 휘말려 있을 때 영국은 의회 정치를 바탕으로 하여 점진적인 개혁을 추진하였습니다. 심사법을 폐지하여 신앙으로 인한 관직 임용의 제한을 없애고, 가톨릭 해방법을 제정하여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였습니다.
한편, 산업 혁명으로 인구 이동이 늘어나자 선거구 재조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습니다. 이에 1832년 영국 정부는 선거법을 개정하여 부패 선거구를 없애고 도시의 신흥 상공업자에게 선거권을 주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일정한 재산을 가진 자에게만 선거권을 주는 것이었습니다. 선거권을 받지 못한 노동자들은 인민헌장을 발표하고 선거법의 추가 개정을 요구하였습니다(차티스트 운동). 1848년에는 프랑스 2월 혁명의 영향으로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습니다. 당시에는 이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 이후 노동자, 농민에게 선거권이 점차 확대되어 갔습니다.
자유주의 운동은 경제 분야에도 나타났습니다. 영국 정부는 기업인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자유 무역에 어긋나는 곡물법과 항해법을 폐지하였습니다. 이로써 영국은 자유주의 경제 체제가 자리를 잡았고 무역이 크게 성장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