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의 개항
18세기 중반 청은 광저우 한 곳을 개방하여 허가받은 공행을 통한 무역만을 허용하였습니다. 당시 영국은 청으로부터 차, 비단, 도자기 등을 수입하고 모직물과 면직물 등을 수출하였습니다. 영국은 특히 차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면서 청과의 무역에서 큰 손해를 보았습니다. 무역 적자를 만회하기 위해 영국은 인도에서 재배한 아편을 밀무역을 통해 청에 팔았습니다. 아편 밀무역으로 인해 여러 사회 문제가 발생하자 청 정부는 아편 엄금론을 주장한 임칙서를 광저우에 보내 아편 무역을 금지하고 아편 흡연자를 처벌하였습니다. 영국은 이를 빌미로 삼아 군대를 파견하여 청과 전쟁(제1차 아편 전쟁, 1840~1842)을 일으켰습니다. 아편 전쟁에 패한 청은 영국과 불평등 조약인 난징 조약(1842)을 체결하여 홍콩을 영국에 할양하고 5개 항구를 개항하였습니다. 개항 이후에도 무역 수지가 크게 나아지지 않자 영국은 애로호 사건을 빌미로 삼아 프랑스와 연합하여 제2차 아편 전쟁(1856~1860)을 일으켰습니다.
태평천국 운동을 이끌었던 홍수전
18세기 전반까지 동아시아 국제 질서의 중심이었던 청은 영국과 벌인 제1차 아편 전쟁에서 패배해 국제적 권위와 영향력이 급격히 떨어졌습니다. 청 정부는 제1차 아편 전쟁에 들어간 막대한 전쟁 비용과 배상금 지급으로 인해 고갈된 국가 재정을 확충하고자 백성들에게 조세 부담을 가중했습니다. 또한 아편 수입이 늘어나 청의 은 유출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영국산 면제품이 다량 들어와 국내의 면직물 공업이 큰 타격을 입는 등 경제적 위기가 심화되자 백성들의 불만은 높아져 갔습니다.
이런 가운데 크리스트교의 영향을 받은 홍수전은 배상제회를 조직하여 청 정부의 유교적 사회 이념과 만주족 지배에 대해 반기를 들었습니다. 홍수전은 백성들의 지지를 받으며 세력을 확장하였습니다. 세력이 커진 홍수전은 만주족이 세운 청을 타도하고 한족이 세운 국가를 다시 부흥하자는 멸만흥한(滅滿興漢)의 구호 아래 1851년 난징을 점령한 후 태평천국을 세웠습니다.
그 당시 많은 사람들이 태평천국 운동을 지지한 이유는 남녀평등 추구, 토지의 균등 분배 주장, 전족과 변발 폐지 등 당시 사람들의 삶과 밀접한 사회 개혁 방안을 제시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청의 수도인 베이징까지 위협할 만큼 세력을 확장했던 태평천국 운동은 지도층의 내부 분열과 한족 신사들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지방 의용병과의 전투로 세력이 점차 약해졌습니다. 이에 더해 제2차 아편 전쟁 이후 이권을 얻게 된 열강은 청 정부를 지원하고 태평천국 운동 세력을 공격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결국 태평천국 운동은 실패로 끝났습니다(1864).
양무운동과 변법자강 운동
청 정부는 제1, 2차 아편 전쟁과 태평천국 운동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서양의 우수한 기술력과 무기를 체험하였습니다. 이런 가운데 청 정부 내에서 서양의 우수한 기술을 받아들이자는 움직임이 일어나 중체서용(中體西用)을 내세운 양무운동이 전개되었습니다. 이 운동은 태평천국 운동을 진압하는 데 앞장선 한인 관료인 이홍장, 증국번 등이 주도하였습니다. 이들은 군수 공업을 일으켜 개량된 무기를 만들어 근대화된 육군과 해군을 양성하고, 조선, 철도, 광산 등 근대 산업을 육성하였으며, 외국으로 유학생을 파견하였습니다.
그러나 양무운동은 전국적 차원에서 통일적인 계획에 의해 추진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청 내부의 근본적인 변화를 통한 개혁을 이루어 낼 수 없었습니다. 결국 청 정부는 1884년 베트남 종주권 문제를 둘러싼 프랑스와의 청프 전쟁과 1894년 조선에 대한 영향력 행사를 놓고 벌인 일본과의 청일 전쟁에서 모두 패함으로써 그간 추진해 온 양무운동의 한계를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근본적인 변화와 개혁의 필요성을 주장한 캉유웨이와 량치차오 등의 변법파들은 서양의 과학 기술뿐 아니라 서양 문물까지 전면적으로 받아들이자는 변법자강(變法自强) 운동을 추진하였습니다. 변법파들은 양무운동의 한계를 중체서용에서 찾고, 그 대안으로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본떠 입헌 군주제를 도입하여 정치 체제까지 대대적으로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아울러 이들은 상공업을 진흥하고, 교육, 법률 등을 근대적으로 개혁하여 부국강병을 이루고자 하였습니다.
이러한 변법자강 운동은 그 당시 권력을 잡고 있던 서태후를 비롯한 보수적인 관리들이 자신들의 권력을 지키기 위해 일으킨 무술정변(1898)으로 100일 만에 실패하고 말았습니다.
의화단 운동
서양 열강의 경제적 침탈과 함께 크리스트교의 전파와 확산은 중국인들로 하여금 서양 열강에 대한 반감을 갖게 하였습니다. 이는 결국 산둥성의 백련교도들이 중심이 된 반외세 성격의 의화단 운동이 일어나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의화단은 청을 도와 서양 열강을 몰아내자는 부청멸양(扶淸滅洋)을 내세우며, 외국인이 만든 철도와 교회를 파괴하는 것은 물론 베이징의 외국 공사관까지 공격하였습니다. 서태후를 비롯한 청 정부의 보수 세력은 의화단을 지지하며 이를 기회로 삼아 서양 열강을 견제하고자 하였습니다. 이에 대응해 영국, 독일, 일본, 러시아 등 8개국은 자국민을 보호한다는 명분 아래 연합군을 조직하여 의화단 운동을 진압하고 베이징을 점령하였습니다. 결국 청 정부는 연합국과 신축조약(1901, 베이징 의정서)을 체결하여 39년간 배상금을 분할하여 갚고, 베이징에 외국 공사관 구역을 설정하여 외국 군대가 상주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수도인 베이징까지 외국 군대가 주둔하게 된 청은 이후 많은 이권을 열강에게 넘겨주었습니다.
신해혁명
위기의식을 느낀 청 정부는 개혁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과거제를 폐지하고 입헌 군주제를 실시하는 등 일련의 개혁 정책(광서 신정)을 실시하였지만, 그 효과는 미미하였습니다. 점차 청 정부의 무능함과 개혁 가능성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확산되었고, 이는 급기야 청 왕조를 타도하자는 움직임으로 이어졌습니다. 특히, 쑨원은 일본 도쿄에서 중국 동맹회(1905)를 조직하고 삼민주의를 내세우며 청 왕조를 무너뜨려 공화국을 수립하고자 하였습니다. 당시 청 정부는 재정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민간 철도를 국유화하여 이를 담보로 외국에 차관을 빌리고자 하였습니다. 청 정부의 철도 국유화 움직임에 반대하는 운동이 곳곳에서 일어나는 가운데 우창에서 혁명파의 영향을 받은 신식 군대가 봉기하는 사건이 발생하였습니다(1911. 10. 10.). 우창 봉기는 전국으로 급속히 확산되어 많은 성들이 청 정부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였습니다(신해혁명, 1911.).
혁명 세력은 쑨원을 임시 대총통으로 선출하고 1912년 난징에서 중화민국을 수립하였습니다. 다급해진 청 정부는 위안스카이를 파견하여 혁명군을 진압하도록 하였지만, 위안스카이는 오히려 쑨원과 협조하여 청 왕조를 무너뜨렸습니다. 쑨원에 이어 대총통에 취임한 위안스카이는 총통의 권한을 강화하고 의회를 해산하고자 하였습니다. 그는 제정을 부활하여 스스로 황제가 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습니다.
위안스카이가 사망한 이후 중화민국은 각 지역의 군권을 장악한 군벌들이 실질적으로 지배하면서 정국이 혼란스러워졌습니다.
댓글